자료실
Alka's story in Korea - 1 대한공론사 (The Korea Herald) 주최 - 외국인 남녀 한국어 웅변대회 참가기
알카가 인도에서 온 지 석달 미만에 써온 영어 원고를 내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녹음해 준 대본을 달달 외우더니 앵무새 같이 연기를 잘해 웅변대회에서 대통령상을 탄 것이다. 이 기록은 전무후무 최단기 수상의 경우가 될 것이다. 물론 일상 회화는 되지 않아 수상 후 기자 인터뷰를 피해 황급히 데리고 나왔었다. 암기의 천재인 알카는 몇 달 후에는 급기야 연극까지 해 보려 해서 결국 '춘향전'을 72년 말 조선호텔 볼룸에서 서울대에 온 33개국 유학생들과 함께 이 땅 최초 '외국인만의 한국어 연극'으로 막을 올리게 되었었다. 이 때도 내가 제작을 맡아 캐스팅, 자금 조달 등 온갖 일을 처음으로 겪어 보며 그 해 여름에 난 수재에 대한 의연금까지 수익금으로 모으는 좋은 결과를 얻었었다.
마침 웅변대회 당시 써 주었던 한국어 원고가 보여 아래에 기록해 놓는다. /이상억
The report of the Korea Herald Korean Language Oratorical Contest for Foreigners held in Seoul on 31st March 1972
Today mark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 Herald Korean Language Oratorical Contest for Foreigners held in Seoul on 31st March 1972, which I won. I had stood 1st, and the rest as they say is history. The date is etched in my memory forever, as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my remarkable journey in Korea.
Even though half a century has gone by since then, the memory of my stay in Korea and that of March 31, 1972, is as fresh as the morning dew.
I had arrived in Korea on 29 December 1971. I had been se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Government of India for a fellowship offered by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do my Ph.D. fieldwork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My Ph.D. thesis was on India’s Role in the Peace-Keeping Activities of the United Nations: Korea, a case study - 1947 to 1954. Simultaneously I also studied the Korean language at the SNU Language Institute. Right from Day One, I was determined to participate in the Korea Herald Oratorical Contest for Foreigners. But it took me a while to convince Professor Lee Sang Oak, my Korean Language professor at SNU, that I could do it. At first Prof. Lee was skeptical about the very idea of a foreign student who didn’t even know what the Korean language was, participating in a serious national oratorical contest to be held in about two and a half months from thence by none other than the respectable daily newspaper, The Korea Herald, which boasted of the very prestigious and highly coveted Presidential (President of Korea) Trophy as the First Prize for the winner of the contest. However, seeing my perseverance and zeal, he finally gave in. Ever since then Prof. Lee Sang Oa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renowned linguistics expert of today, has been my mentor, guide, teacher, and wonderful friend. 선생님, I don’t know if you are aware but this year we celebrate half a century of our wonderful association.
Anyways, coming back to the contest which was the first memorable step in my long and fascinating relationship with Korea….I wrote my speech in English and Prof. Lee translated it for me in Korean. Of course, first I had to learn the Korean script, the pronunciation, and the language at large before I could start memorizing my speech. For two and a half months I was studying 18 hours a day. And finally dawned the day of reckoning!
The title of my speech was: A Soldier’s Dream. My late father, Col. D.A. Mahadkar, was in the Indian army and he had served under the UN in Korea as the youngest Indian army officer of the Custodian Force of India, which was responsible for the custody and repatriation of the Prisoners of War from bo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My father had fallen in love with Korea and its simple people and he hoped that I, his little daughter back home then would someday visit the land he had so come to love. He also hoped that one day I would give the Custodian Force of India its rightful place in history by bringing to light the very important and crucial role played by India in the successful handling of the vital issue of the POWs and their Repatriation. Thus the topic of my Ph.D. thesis was determined by this desire of my father. And thus the title of my speech and the content of my speech was also determined by his dream.
I made history, winning the Oratorical Contest by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well enough to participate in the competition within three months of my arrival in Seoul. The attached press clippings speak for themself.
선생님, thank you for believing in me and for all your help and assistance. I could never have done it without you.
Alka (Mahadkar) Gupta / 문성희
<한 인도 장교의 꿈>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앞에 계신 심사위원님과 방청객 여러분께 저는 인도식 인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인사]
저는 한국말을 배우기 시작한지 삼개월 밖에 안 되기 때문에 서투른 점이 많을 테니 너그럽게 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오늘 말씀 드리려는 이야기는 한 인도 장교의 꿈이 어떻게 실현되어 가고 있는가 하는 실마리로 시작됩니다. 단순히 꿈 얘기가 아니라 물론 여러가지 내용을 말씀 드리려는 것입니다. 즉 한 사람의 소망이 모든 사람의 이상과 같을 때, 그것을 어떻게 키워야 할까를 생각해 보려는 것입니다.
한국에서 6-25 사변이 일어난 뒤 휴전협정이 맺어질 무렵, 인도는 중립국 감시 위원단의 의장국으로 일을 했습니다. 우리나라는 독립후 처음으로 군대를 해외에 파견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그 무장한 군인들은 전쟁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 반대로 평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역사상 드문 '세계경찰군'의 역할을 했던 것입니다.
그 때 인도군 가운데 아마 가장 젊은 장교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 사람은 인도의 시성 '타골'이 '동방의 등불'이라고 찬미한 이 나라에 1953년 첫발을 디뎠습니다. 물론 처음에는 한국을 잘 알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포로 교환 임무를 맡은 2년 동안 고난 속에 있으면서도 친절하고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진 한국사람들을 매우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아마 아주 마음을 홀딱 빼앗겼나 봅니다.
그래서 그 때 다섯 살밖에 안 된 조그만 딸이 자라 세계정세에 대해 공부를 하게 되면 이 나라에 보내기로 작정을 했던 것입니다. 자신이 겪었던 즐거운 세월을 경험하고 친절한 사람들을 사귀면서 세계평화의 참 뜻을 얻으려는 꿈을 가졌던 것입니다.
이 인도 장교는 바로 나의 아버님이셨고 그 딸이 바로 여기 서있는 저입니다. 저는 아버님의 꿈을 실현시키는 첫발을 디디게 된 것이 우선 기쁩니다. 그러나 이 '조용한 아침 나라'에 온 것만으로 그 꿈이 다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저는 아버님의 임무가 세계평화와 우호관계를 도모하려는 것이었던 것처럼 그 뜻을 이어 받아 조그만 힘이라도 바쳐야 하겠습니다. 이것은 새로운 나의 꿈입니다. 그리고 모든 세계 평화 애호인들의 이상일 것입니다.
들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At the tomb of Heo Hwang-ok (the legendary Queen from India) in Kimhae in 2019 with the distinguished authority on linguistics, Prof. Lee Sang Oak - my mentor, teacher, guide and friend.
President Park Chung Hee’s citation
President Of Korea Park Chung Hee’s Trophy - my priced possession
Some of us contestants with the First Lady (육영수) after the Contest. I am in the pink sa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