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옥

A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in Seoul

남산골 한옥마을 도편수가(이상억 20세까지 거주)

이상억 20세까지, 총 4대에 걸쳐 75년 거주.

1889년 증조부, 도편수 이승업이 지은 집을 구입.

사랑채는 조선말 화가(장승업, 조석진, 안중식, 오세창, 이도영, 고희동, 이상범 등)의 작업장 겸 사랑방. 1997년 전 중정/안기부 터에 남산한옥마을 조성.

서울시 문화재 전문위원 김홍식(명지대) 교수가 지붕 ߆꼴 용마루의 특징으로 문화재임을 직감.

관련 영상 및 자료

1.남산골 한옥마을 도편수가

2. 남산골 한옥마을 5채 해설 공식 동영상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3. 이상억 한글학자 인터뷰

1. 위 한옥 소개 때 서양 친구가 와서 모르는 새 작성한 글. https://ethnoscopes.blogspot.com/2019/04/hanok-traditional-residence.html

2. 남산 한옥 마을 답사. 한옥 동호인 기록.  네이버 서촌주거공간연구회 카페 관련글

도서 : 이상억 편저 '서울의 한옥'

이상억 편 저자(글)
한림출판사 · 1998년 10월 15일

상세 내용

앞 2층(부엌과 다락)과 뒤 1층(안방, 골방)이 연결된 용마루 길이가 다른 독창적 설계.

박공벽의 회색 벽돌과 흰 줄눈.

안채 뒷벽 색벽돌 무늬, 다른 담장도 이와 비슷함

부엌 앞 선반 까치발의 초각/초새김.

*선반 위 다락 넉살창문의 아(亞)자 무늬, 보통 민가에서 볼 수 없는 사선형으로 이채로움.

 

건넌방 앞 난간 모서리에는 만(卍)자 무늬.
나지막한 난간의 비례미

*댓돌은 마당 흙을 돋아 땅속으로 묻히고, 디딤돌/탈화석(脫靴石)은 치워져 기단만 남음. 중간주인(1964- 97)의 무식 탓에 훼손된 상태로, 복원 않고 이전만 함.

 
사랑채 3벌대 댓돌 모습 및 탈화석
서까래 모서리 모임 각도

K-건축

구들(외국서도 라디에이터보다 나은 바닥 난방이 이미 유행)

미국서도 바닥 난방이 2-30년전부터 온수나 전기로 시작되다가 코로나 이후 신 벗고 방 출입하는 새 습관이 생겨 바닥 난방이  선호되어 많아지며 친환경 위생적 건축방식으로 여겨짐.

창호(한지의 좋은 통풍성: 덧문(분합), 미닫이(영창);

보온 및 광선차단: 갑창, 두껍닫이로 보완)

불밝이창(통풍 겸 광선 조절)

원래 사랑채는 방 -마루-방이 아니라 방-방-누마루의 구조였다. 그 오른 쪽 끝은 (누)마루여 서 방과 사이에 불 밝이창 8폭을 두어 2종 공간의 용도를 구분함. 방 두 칸은 화가들의 작업장이 되었음.

기타

증조부 이재윤의 초상

心田 안중식 작품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되어 2014년 미국 3대 미술관 순회 전시.

오른쪽 탑: 증조모의 기증, 조부 이종익 명의로 진관사 요사채 뒤에 1913년 다보탑이란 이름으로 세운 5층석탑. 아들 많이 낳기(多男)를 기원하여 시주한 결과 장자인 부(父) 이영우를 비롯 8형제를 얻음.

삼각동 시절(20세기 전반) 원래 3벌대 댓돌 모습

안채 건넌방 문 위에 추사 김정희의 현판 ‘산호벽수’(珊瑚碧樹), 마당에는 파초 밑에 누님.

사진설명: 오른쪽부터 경기 59회 김장호, 이상억, 김용진 (모두 김추봉 여사 후손) 경기고교 본관 앞에서; 왼쪽 사진 (가족 모두 경기 출신): 이상억 경기고 59회, 누나 이초애 경기여고 47회, 형 이상기 53회, 부 이영우 31회, 조모 김추봉 4회, 모 권판조 26회, 동생 이경애 53회. 이상기의 서울대 상대 졸업식 사진.

언론자료

서울대 이상억 교수 ‘서울의 한옥’ 펴네

중앙일보 입력 1998.10.27 00:00

사진설명: 조부 이종익(李鐘翊) 환갑 기념 사진 1950.6.24. 사변 하루 전에 전 가족 모임.

사진 뒷줄 왼쪽부터: 6째 삼촌 이석우 5이진우 4이명우 2이창우 1(부) 이영우 1(모) 권판조 2김정순 4이인숙 2(작은 조모)김추봉 2이정숙 3이정욱 1이덕우 밑 7이필우 앞줄 1사촌형 이상훈 3이상억 2이상철 1(조부)이종익 4이경애 1(조모)윤정완 1김장호 2이초애 1이상기 8이능우

삭막한 도시생활 중에도 고향 서울을 또렷이 기억하며 오늘에살려내는 이가 있다. 서울 토종 이상억(李相億. 54.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 그가 회상하는 고향의 얼굴은 증조부 때부터의 향기가온전하게 전해지는 그의 옛집 한옥이다. 경복궁을 중건한 도편수이승업(李承業)이 지은 광교 근처 삼각동 한옥에서 태어나 유년과청년시절을 보낸 그. 도시화의 바람에 밀려 그 한옥은 그 자리에서옮겨져 이제 ‘남산골 한옥마을’의 문화재로서 남았지만 이교수의’한옥 사랑’이 이제 한 결실을 맺었다. 그 한옥을 세세한 기록으로재현한 책’서울의 한옥’이 그것(1998년, 한림출판사刊). 한옥 건축의이모저모뿐 아니라 이교수의 부모가 살았던 1930~40년대 생활상을 함께 아우른다. 그 집을 그리며 그 시절로 진정 돌아가고 싶은것이다. 이교수와 한옥의 인연은 경복궁 중수에 참여한 도편수 이승업이 중수에 쓰던 자재를 가져다 지어 10여년을 살았던 이 한옥을 증조부가 그 솜씨를 잘 알아 보고 매입하여 이사하면서부터.그 후 4대가 살았다. 안채와 사랑채를 중심으로 안뒤채, 사랑뒤채,행랑채가 오밀조밀 자리한 이 한옥은 제각기 크기가 다른 지붕의박공(공: 지붕밑 측면에 팔(八) 자 모양으로 붙인 널)과 박공벽에쌓아올린 회색 벽돌, 선반을 받치는 (삼각)까치발의 현란한 초새김 조각, 비례가 완벽한 나지막한 난간 등 무엇 하나 나무랄 데 없는집이다.

서울시 문화재위원인 김홍식(金鴻植) 명지대교수는 “70년대 처음 이 한옥을 본 후 너무 아담하고 아름다워 몰래 사모하는마음까지 생길 정도였다” 고 말한다. 남산한옥골로 옮겨진 이 집을 둘러보며 이교수는 이 한옥과 고종황제에 얽힌 일화를 들려준다.

대문이 솟을 대문이라 멀리서도 높직이 눈에 띄었던 게 이 집의특징. 당시 높은 집이 없을 때라 한옥이 덕수궁에서 빤히 내려다보였다. 궁중에서 밖을 보시던 황제가 “저 여염집 대문은 왜 저리높은고” 하며 힐책했다는 것. 그래서 이 대문은 보통보다 이렇게훨씬 낮아졌단다. 또 이런 구조 탓에 비가 오면 마당에 물이 많이고이곤 했는데 6.25때 옆 동네에 화재가 났을 때 펌프로 고인 물을 퍼, 불을 껐던 일도 있었다. 시간이 지나도 이교수의 기억을명징하게 해주는 것은 그때의 사람들과 생활이다. 특히 제사나 생일잔치 때 다락과 광에서 그릇과 기구들을 꺼내는 일은 안주인과 찬모(饌母). 하녀들이 맡았고 장보기는 아낙네들이 밖에 나갈생각도 못할 때라 사랑의 서사(書士)가 일하는 아범들을 데리고 지게로 가득 장을 봐줬다. 조리가 시작되면 그야말로 온 집안은 ‘활기’ 와 ‘법석’이 하나가 돼 한옥을 무대로 장중한 교향악이 펼쳐진 듯 했다. 빨래는 보통 간단한 것은 집에서 해도 무명빨래들은 모아서 날을 잡아 봄, 가을로 자하문 밖 세검동으로 향한다. 이날은 하인들과 아이들의 축제일. 새벽같이 아범이 지게로 솥과 방망이, 점심거리를 챙기고 여인들이 뒤따라 빨래거리를 나누어 다같이 이고 진다. 세검정 바윗가에서 날이 저물도록 빨래를 하다 하인들끼리 눈이 맞기도 하고 아이들은 송사리와 가재를 잡고 놀 수 있는 그런 날이었다. 자신의 경험 혹은 부모로부터 들은 얘기를 하나씩 들려주던 이교수는 가끔 눈을 지그시 감는다.

바닷가나 산이 고향인 이들이 그곳을 회상하듯. 이런 탓에 남산한 옥골을 자주 찾는 그는 자칫 삭막해 보일 수 있는 고향 서울의 기 억을 그의 책 ‘서울의 한옥’ 에서 잘 복원해 내고 있다.

신용호 기자

서울의 한옥' 이승업가의 조감도: 도자기 위 필자의 그림

조감도

월문(月門)

도자기에 필자가 그려 넣은 안채의 여러 모습

사랑채

사랑 뒤쪽 색벽돌담